공공기관 3곳 중 1곳, 5년간 장애인 채용 ‘0’명
전체 공공기관의 38.4%
수준
공공기관 49.8%, 고졸 채용
실적 제로
여성 채용 비율 50% 인접 '상승세'
공공기관 3곳
중 1곳 이상은 지난 5년간 장애인을 한 명도 채용하지 않은
것으로 드러났다. 또 공공기관의 절반은 5년간 고등학교
졸업생(고졸) 채용 실적이 전무했다. 다만 공공기관의 여성 채용 비율은 점차 상승세를 보이며 50% 선에
근접했다.
11일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 시스템인 알리오에 따르면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 동안 공공기관 370곳 중 38.4%인 142곳은
장애인을 한 명도 채용하지 않았다. 이는 세부 채용 현황이 있는 정규직(일반정규직) 신규채용 인원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.
지난 5년
동안 장애인을 단 1명 뽑은 곳도 58곳에 달했고, 이들 공공기관을 포함해 장애인 채용인원이 1명 이상 10명 미만인 곳은 총 163곳으로 전체의 44.1%를 차지했다.
장애인 채용 인원이 5년간 10명 이상인 공공기관은 65곳으로
17.6%에 그쳤다. 장애인을 가장 많이 채용한 공공기관은 한국도로공사의 자회사인 한국도로공사서비스로, 5년간 1300명을 채용한 것으로
집계됐다.
뒤를 이어 △한국철도공사(430명) △국민건강보험공단(322명) △한국전력공사(134명) △한전MCS(126명) △한국수력원자력(116명) △근로복지공단(108명) △분당서울대병원(104명) △한국가스공사(62명) △경북대병원(56명) 등의
순이었다.
지난 5년간
공공기관들이 채용한 장애인은 총 4542명으로, 전체 정규직
채용 인원(15만4197명)의 2.9%를 차지했다. 특히 공공기관의 장애인 채용 실적에는 ‘허수’(虛數)가 있어 실제 장애인 채용 인원은 훨씬 적으로 것으로 추정된다. 실제로 한국도로공사서비스는 2019년에 1284명의 장애인을 채용한 것으로 실적이 잡혔지만 실제로 장애인을 채용하지는 않았다.
공공기관 370곳
중 49.8%인 184곳은 지난 5년간 고졸 채용 실적이 전혀 없었고, 고졸 채용 인원이 1명 이상 10명 미만인 곳도 95곳이었다. 고졸 채용 인원이 5년간 100명
이상인 곳은 28곳으로 7.6%에 그쳤다. 장애인 채용과 마찬가지로 고졸 채용 실적에도 허수가 있어 실제 채용 인원은 더 적을 것으로 추정된다.
한전MCS가 5년간 2748명의 고졸 출신을 뽑아 가장 많았고 이어 △한국철도공사(2479명) △한국전력공사(1320명) △한국도로공사서비스(1215명) △분당서울대병원(544명) △국민건강보험공단(541명) 등의 순이었다.
공공기관의 여성 채용 비율은 갈수록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
나타났다. 지난해 공공기관 370곳의 정규직 채용 인원 2만6622명 중 여성은 1만2863명으로 48.3%를 차지했다.
이 비율은 2017년 44.1%, 2018 년 46.1%, 2019년 47.6%, 2020년 47.2% 등으로 매년 상승세를 보인 데 이어 지난해에는 48% 선을
웃돌았다.
지난해 공공기관의 정규직 채용 인원 중 비수도권 지역인재
선발 비율은 60.9%였고, 이전해 간 곳의 지역인재 선발
비율은 8.3%였다.
출처: 아시아투데이, 2022-05-11 08:58:00, 장예림 기자
(yeaah@asiatoday.co.kr)